Quantcast
Channel: Human Rights Brief »» South Korea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6

South Korea: United Nations Calls for Korean Anti-Discrimination Act |유엔(UN), 한국에 차별금지법 제정 촉구

$
0
0

한국어 번역을 사용할 여기에

South Korea: United Nations Calls for Korean Anti-Discrimination Act
by Wilson Melbostad

Seoul National Assembly
Seoul National Assembly

After a weeklong visit to South Korea last October, The United Nations (UN) Special Rapporteur on racism, Mutuma Ruteere, called on the government to address xenophobia and racial discrimination. Over the last decade, waves of migrants have entered the Korean workforce. To date, around 1.57 million foreign nationals reside in South Korea, making them three percent of the population. To support its growing population of multicultural settlers, the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a series of laws and policies. Yet, despite requests from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and the UN, South Korea has yet to pass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The Republic of South Korea is a party to a number of international treaties and conventions against discrimination. Article 5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ICERD); Article 2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CESCR); Article 8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CCPR) as well as Article 7 of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s (UNESCO)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collectively prohibit forced labor, protect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 and guarantee the right to work in just and favorable conditions. Though South Korea has yet to pass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the state does have some applicable domestic legislation. Article 11 of South Korea’s Constitution, Article 22 of the state initiated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Act, and Article 6 of South Korea’s Labor Standards Act prohibit discrimination or unfair treatment of foreign nationals.

Despite these commitments to anti-discrimination, the Special Rapporteur found countervailing amendments within Korean domestic policies that offset progress and exacerbate the nation’s problems of racial discrimination. South Korea’s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enacted in 2004, was created to resolve low-skilled labor shortages in South Korea and allows employers to legally hire foreign workers. Ruteere explained, however, that since 2004, the government made amendments to the system that restricts migrant workers’ abilities to change jobs and challenge abusive practices by their employers. Additionally, Ruteere expressed concern that the EPS prevents those within the scheme from being granted permanent or long-term residency, because the EPS limits workers’ eligibility to a maximum of four years and ten months. Indeed, according to a recent study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NHRCK), eighty-four percent of migrant workers surveyed felt they experienced some form of discrimination, including pay and benefits, type of work assigned, and overall hostile treatment.

Another domestic directive, South Korea’s Labor Standards Act, was enacted in 1997 to provide a systematic framework to protect all of the country’s workers, citizens and foreigners alike. However, a recent investigative report from Amnesty International finds that a provision in Article 63 of the Act specifically excludes the agriculture industry; a sector,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made up of over seventy percent migrant workers. In his press conference in Seoul last month, Special Rapporteur Ruteere noted that the agriculture industry in particular needs improved oversight from the Korean authorities. Out on the farms, migrant workers experience poor working conditions and wage inequity. Employers often illegally subcontract their farmhands in between harvesting seasons, and many migrant workers are subjected to physical or sexual violence.

According to Ruteere, it is important that the government begins implementing education and awareness campaigns to prevent the proliferation of racist and xenophobic movements and ideas within South Korea. Locally organized xenophobic groups claim that multicultural policy enacted by the government actually discriminates against Koreans because they are not entitled to the same social benefits and programs. Ruteere confirmed that no such inequity exists but cited the discrepancy as further grounds for anti-discriminatory awareness plans in the country. The Special Rapporteur also noted several specific discriminatory scenarios, including prohibiting an Uzbekistan-born naturalized Korean woman from entering a public bath, Korean television comedy programs featuring actors in blackface, and local shops and restaurants expressing derogatory perspectives towards foreign customers as additional reasons to initiate broad campaigns against culturally insensitive tendencies.

Although South Korea has taken steps to combat discrimination, critics are concerned the country may still fall short of its international obligations. In order to strengthen its efforts against discrimination, South Korea should develop cultural awareness initiatives amongst its citizens, improve domestic legislation, and promote a culturally sensitive and conscious media infrastructure. To offer better protection to migrant workers, Ruteere proposed that the government ratif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Finally, to help fill voids in South Korea’s existing legislation, the Special Rapporteur called for the imposition of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ory act. By ratifying these treaties and implementing legislation that conforms to existing obligations, South Korea can strengthen its commitment to eliminating racism.


 


유엔(UN), 한국에 차별금지법 제정 촉구
2015년 1월 26일
Wilson Melbostad 작성

Seoul National Assembly 국회의사당
Seoul National Assembly – 국회의사당

2014년 10월, 유엔 인종차별 특별보고관 무투마 루티에르 (Mutuma Ruteere)는 일주일간 한국 방문을 마친 후 한국 내 외국인 혐오와 인종 차별에 관한 문제를 다룰 것을 한국 정부에 요청하였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으로 수많은 외국 이민자들이 노동자로 유입되었으며, 오늘날 전체 인구의 3%에 해당하는 157만명의 외국인들이 한국에 거주하고 있다. 외국인 거주자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 정부는 그에 걸맞은 법과 정책을 제정해왔다. 하지만, 국제노동기구와 유엔의 여러 차례 요구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아직까지 포괄적인 차별금지법안을 통과시키지 않고 있다.

한국은 차별을 반대하는 여러 국제 협약과 규약에 가입한 상태다.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철폐 국제협약(ICERD) 제5조,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ESCR) 제2조, 시민•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 제8조,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 및 증진을 위한 유네스코 협약 제7조는 강제 노동 금지,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 공정하며 좋은 근로조건 보장 등을 명시하고 있다. 한국은 아직 포괄적인 차별 금지법이 제정되지 않았지만, 이에 적용 가능한 국내법 조항들이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11조, 고용허가제(EPS) 제22조, 근로기준법 제6조는 외국인에 대한 차별과 부당한 대우를 금지하고 있다.

이러한 차별반대 조항에도 불구하고, 무투마 루티에르 특별보고관은 한국의 국내 정책에서 상쇄되는 조항들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조항들은 인종차별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다. 한국은 숙련도가 낮은 국내 노동자 부족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2004년 고용허가제를 도입하여, 사업주들로 하여금 합법적으로 많은 외국인 노동자들을 고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루티에르 특별보고관의 설명에 따르면, 2004년 제도 시행 이후 한국 정부는 고용허가제를 개정하였고, 이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이직 및 고용주의 부당한 대우에 대한 반발에 제약을 가하고 있다. 더욱이, 현재 시행 중인 고용허가제는 외국인 노동자의 국내 최장 체류기간을 4년 10개월로 제한, 이들의 장기 체류나 영주권 취득을 가로막고 있다. 한국 국가인권위원회(NHRCK)의 연구에 따르면, 전체 이주 노동자들의 84%가 급여, 수당, 배정된 업무 및 전반적인 부당한 대우 등 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변하였다.

한국 근로기준법은 국내 노동자, 주민 및 외국인 노동자 보호를 위해 1997년 개정되었고, 국제 사면위원회의 최근 조사 보고에 따르면 국내 근로기준법 제 63조는 농업분야를 분명히 배제하고 있다. 국제 이주기구(IOM)에 따르면, 한국 농업 인력의 70% 이상이 외국인 노동자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달 서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루티에르 특별보고관은 한국 정부가 특히 농업분야 관리를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주 노동자들은 열악한 근무조건과 임금 불평등에 시달리며, 고용주는 수확기 사이에 종종 농장 노동자와 불법적으로 하청 계약을 맺고 있으며, 이들 이주 노동자들은 신체적, 성적 폭력에 노출되어 있다.

루티에르 특별보고관은 한국 정부가 인종차별과 외국인 혐오 확산을 막기 위한 교육과 인식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외국인 혐오단체들은 그들이 외국 이주민들과 같은 혜택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정부가 시행하는 다문화 지원 정책이 오히려 역차별을 조장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특별보고관은 국내 차별반대 인식계획에 대한 향후 근거로서 차이점을 얘기하며, 그러한 불평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신하였다. 국내 귀화한 우즈베키스탄 여성의 목욕탕 출입거부, TV 프로그램에서 출연자들의 흑인 분장, 외국 손님에게 경멸하는 태도를 보인 상점 및 식당 등 몇 가지 구체적인 인종차별 사례를 들며 문화적으로 몰이해한 성향을 반대하는 캠페인을 광범위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한국 정부는 차별에 맞서 여러 조치들을 취해 왔지만, 여전히 국제사회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차별에 대한 노력을 강화하기 위해 개인간 문화 인식 개선, 국내 법령 개선, 자각적인 미디어 인프라와 문화적 민감함을 장려하며, 이주노동자 보호를 위해 이주노동자와 이들 가족의 권리를 보호하는 국제 협약 비준을 촉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존 국내 법안들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특별 조사위원은 포괄적인 차별금지법안 도입할 것을 요청하였다. 기존의 사항을 따르는 이러한 협약 비준과 법안 시행을 통해 한국은 인종 차별을 없애는 노력을 강화할 수 있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6

Latest Images

Trending Articles





Latest Images